본문 바로가기
건강

리플리 증후군 그리고 허언증들이 구라치는 이유

by 몬재다 2021. 1. 10.

 

리플리 증후군이란 자기 자신마저 속이는 거짓말이다. 리플리가 붙은 이유는 미국 작가 퍼트리샤 하이스미스가 1955년에 출간한 소설 '재능 있는 리플리 씨 씨'의 주인공 톰 리플리를 따온 거다. 내용이 충격적이라 영화로도 나옴.

 

그리고 입만 열면 구라가 튀어나오는 사람을 주변에서 몇번은 봤을 것이다. 이렇게 습관처럼 거짓말이 튀어나오는 사람들과 리플리 증후군 이 둘에 대해 조금 더 디테일하게 알아보자.

 

 

 

 

리플리 증후군

리플리 증후군

 

리플리 증후군이란 정신과에서 사용되는 공식 진당명 DSM 상에 등재되어있지는 않음.

 

리플리 증후군(Ripley Syndrome)

현실 세계를 부정하고 허구의 세계만을 진실로 믿으며
상습적으로 거짓된 말과 행동을 일삼는 반사회적 인격 장애 

 

정의된 개념은 위와 같음. 현실하고 거짓말의 갭이 너무 커져버리게 되면 이게 사실이 아니라는 게 밝혀졌을 때 본인이 받을 현실적인 제재들, 구속이 된다든지 혹은 사람들, 그동안 얻었던 지위 이런 것들을 다 잃는다든지 이런 것들도 물론 크겠지만, 스스로 받을 심리적인 타격이 굉장히 클 거다. '지금까지 나는 정말 거짓된 삶을 살았구나'라는 걸 받아들이기 힘든 거다.

 

이런 심리적인 데미지를 받는 상황을 피하기 위해 스스로 마음을 속이게 되는 지경에 이르게 되는 거다. '이건 사실이야, 진짜야'라고 되뇌다가 진짜 사실이라고 믿어버리는 것이 리플리 증후군으로 생각된다. 정신과에서 이런 단계는 망상이라고 부름. 어떠한 근거를 들이대도 수정되지 않는 잘못된 믿음을 망상이라고 부르는데,

 

내가 실제로 가지지 않은 것들을 가졌다. 내가 절대 될 수 없는 사람이 되었다고 믿어버리는 이런 망상의 상태에 이르게 된다는 거다.

 

 

 

 

허언증

허언증

 

대부분 주변 사람들에 의해 금방 파악당하기 쉽다. 이로 인해 인간관계에서도 문제가 생기고 고립되는 경우가 많음. 이렇게 문제적인 수준, 병적인 수준까지의 거짓말, 허풍이 됐을 때 'Pathological Lying'이라고 한다. 정신과 교과서에 보면 'Pseudologia Fantastica'라는 용어로 허언증을 표현함.

 

이 두 가지는 기본적으로 비슷한 개념이나 '병적 거짓말 Pathological Lying'이 조금 더 큰 개념이다. 이 안의 일부가 '공상 허언증 Pseudologia Fantastica'이 들어간다고 보면 됨. 이 공상 허언증이라는 것도 사실 오래된 개념이기 때문에 현대 정신의학에서는 정확히 정의돼있지는 않으나. 거짓말 일부를 진실이라고 믿는 수준에 이르렀을 때 공상 허언증이라고 부름. 

 

병적 거짓말은 습관적이고 반복적으로 거짓말을 내뱉는 거다. 구라인걸 인식하면서 말하기도 하지만, 이게 많이 반복되다 보면 사실이라고 믿는 경우도 생기게 된다. 심리 교과서에 병적 거짓말 부분을 보면 '연극성 성격을 가진 사람이 자주 사용한다'라는 부연 설명이 있다. 쉽게 말하면 관심종자들이 해당됨.

 

무언가를 이뤄내고 싶은 마음은 큰데, 본인 능력으로는 안 될 것 같은 열등감에 병적인 거짓말을 하게 되는 거다. 근데 또 이런 연극성 성격뿐만 아니라 자신의 이득을 취하기 위해 반사회성 성격을 가진 사람들도 자주 사용한다. 심지어 이들은 어떤 죄책감, 후회, 불안 등의 감정이 없다.

 

 

영화 '캐치 미 이프 유 캔'도 보면 그냥 정말 재미, 돈 이런 걸 위해 거짓말을 하는데, 죄책감은 전혀 볼 수 없음.

 

 

 

 

마무리

거짓말을 하는 이유는 열등감, 자격지심, 낮은 자존감 이런 것들에서 시작되는 경우가 가장 많다. 처음에는 사소한 거짓말로 자기를 약간만 조금 더 돋보이게 혹은 약간만 포장하려는 시도에서부터 출발한다. 멘탈이 약한 사람들은 다른 사람과 비교되는 상황에서 쉽게 자존감의 손상을 입게 되다 보니 구라를 치는 거다. 

 

예를 들어 친구들이 명문대에 진학하게 됐는데, 본인만 그저 지잡대에 갔다고 했을 때 자존감이 떨어지는 걸 막기 위해서 대학을 속이는 거짓말을 하게 되는 거다. 하지만 거짓말로 자존감을 유지시키는게 정말로 쉬운 일이고, 뭔가 계속 불안하고, 본인이 거짓말을 했다는 걸 또 자책하면서 자존감이 손상될 수 있는거다. 

 

그리고 그 뒤에 그걸 덮기 위해서 계속되는 거짓말을 하면서 부정적인 결과가 반복이 될 수 있음. 점점 커지는 거짓말로 나중에는 발을 빼야지 생각을 해도 도저히 빠질 수 없는 상황이 생기게 되는거다. 자신을 완전히 잃어버리는 결과를 불러오기 전에 깨닫고 구라 치지 말자. 

 

 

 

 

 

 

댓글